전 세계 10억 명이 넘는 가톨릭 신자의 지도자를 선출하는 회의, 콘클라베
이 중요한 과정에 정작 평범한 신자들은 단 한 명도 참여하지 못합니다
교황 선출회의, 일명 콘클라베에서는
오로지 교회 최고위 성직자인 추기경들만이 투표에 나섭니다.
그것도 바티칸 한 구석의 폐쇄된 공간에서 진행되는 비밀회의입니다.
겉보기에는 전통과 경건함으로 포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절차의 실상은 현대 민주주의와 거리가 멉니다
‘콘클라베’라는 단어는 라틴어로 ‘열쇠로 잠근 방’이라는 뜻입니다
교황 선출 과정은 철저히 외부와 차단된 채 이루어집니다.
이 회의에는 선거권을 가진 약 120명의 추기경들만 입장합니다
이들 모두는 이전 교황들에 의해 직위에 오른 엘리트 성직자들입니다.
전 세계 신자들의 신앙과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인물을 뽑는데
신자들은 물론, 대부분의 성직자조차 이 과정에서 배제됩니다.
이는 규모나 중요성 면에서 비교할 때
오늘날 어떤 세속 국가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비민주적인 의사결정 구조입니다.
교황 선출을 두고 가톨릭 교회는
흔히 “성령의 인도 하에 최선의 선택이 이루어졌다”며 신의 뜻이라 합니다 .
새 교황이 결정되면 “신이 선택한 분”이라합니다.
그러나 엄숙한 기도, 찬송 소리 너머로 펼쳐지는 것은
철저한 인간들의 정치 드라마입니다.
어떤 추기경은 개혁을,
다른 이는 보수적 안정을 추구하며
서로 표 계산을 하고 교묘한 연합을 꾸밉니다.
결국 교황은 이런 힘겨루기 속에서 탄생한 정치적 타협의 산물입나다.
그럼에도 결과 발표 순간이 오면 모든 과정이 “신의 뜻”이라는 말 한 마디로 포장됩니다.
인간의 정치적 산물을 두고
“신이 선택했다”고 둔갑시키는
신앙을 빙자한 허위 의식입니다.
콘클라베의 철저한 비공개 진행과 의식화된 신비주의는
가톨릭 교회의 권력 구조를 현재 모습 그대로 공고히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외부의 어떤 견제나 참관도 허용되지 않습니다
교회 지도부의 기득권을 안전하게 지켜주는 방패막입니다.
중세 봉건 영주들이 성문 안에서 차기 군주를 추대하던 모습을 연상시키는 구조입니다
교회의 권력은 소수 성직자 집단 내부에서만 재생산됩니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평신도, 하위 성직자의 의견은 철저히 배제된 채 교회 지도자가 결정됩니다
신자들은 일방적으로 그 결과를 수용하라는 요구를 받습니다.
이러한 폐쇄적인 권력 세습 구조는
민주주의 시대의 가치관과 정면으로 충돌합니다.
국민주권과 투명성이 상식이 된 사회에서,
교회만이 구시대적 특권 체계를 고집합니다.
교회 측은 “종교 조직은 세속 국가와 운영 원리가 다르다”합니다
그러나 전근대적 방식으로 지도자를 선출하고도
세계인의 존경과 신뢰를 기대하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콘클라베가 신앙 전통이라는 미명 하에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들을 외면한다면,
그 결과는 교회의 도덕적 권위 실추로 돌아올 것입니다.
시대는 변했습니다
밀실에서 태어난 교황이라는 이 역설을
교회가 언제까지 답습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