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회 내 아동 성범죄,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벌어집니다
2002년 미국 보스턴에서 터진 사제들의 아동 성추행 폭로
유럽, 호주, 남미 등 수십 년간 지속된 성범죄, 은폐 패턴이 드러납니다.
성직자에 의한 아동 성범죄 규모는 나라를 불문하고 방대합니다.
프랑스에서는
독립조사위원회 보고서를 통해 지난 70년간 33만 명에 달하는 아동이 성직자들에게 학대당했음을 밝혔습니다.
이 보고서는 성범죄가 “조직적 방식으로” 은폐되었음을 밝힙니다
가해자의 80%가 남성 어린이를 노렸으며 교회가 오랜 기간 신도들의 신뢰를 악용하며
얼마나 많은 아이들을 희생시켰는지 드러났습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서 대배심이 2018년 발표한 보고서는
6개 교구에서 300명이 넘는 사제가 1,000명 이상의 아이들을
수십 년에 걸쳐 성폭행하거나 추행한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보고서에 기록된 사건들 대부분이 공소시효가 지나 형사처벌조차 어려운 상태입니다.
일부 사제는 미성년자를 임신시켜 낙태를 돕고도 제재를 받지 않았습니다
다른 이는 7살짜리 아이를 강간했다고 자백했으나 교회 안에서 은밀히 이동되었습니다.
이러한 학대가 특정 지역에 국한된 예외가 아니라 교회 곳곳에서 만연한 악습이었습니다.
아일랜드도 1940년~90년대에 “수만 명의 아이들”이 성직자와 수도자들에게 학대당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호주에서는 국가조사위원회가 가톨릭 사제의 7%가 아동 성범죄에 연루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호주 교회는 피해자 수천 명에게 이미
2017년까지 약 2억7천만 달러에 달하는 합의금을 몰래 지급하는 등 은폐에 급급합니다.
가톨릭 교회 지도부는 이러한 범죄를 저지른 성직자들을 처벌하기보다 숨깁니다.
교구장 주교들은 가해 사제를 다른 본당으로 발령 냅니다.
피해 사실을 알고도 외부에 알리지 않습니다.
교회 내부 문서와 조사에서 드러난 바
교회 수뇌부의 최우선 순위는 피해 아동의 보호나 정의 구현이 아닌 교회의 명예 유지입니다.
아일랜드 더블린 교구 조사보고서는
교회가 “비밀 유지, 스캔들 회피, 교회 평판과 자산 보호에 집착한 나머지,
아이들의 복지와 피해자에 대한 정의 실현은 뒷전이었다”고 개탄했습니다.
교회는 자체 교회법조차 제대로 적용하지 않습니다
세속 법률의 개입도 피하려고 최선을 다합니다.
바티칸은 1997년 아일랜드 주교들이 사제 성범죄를
경찰에 의무 보고하려 하자 이를 반대하며 제동을 걸었습니다
이에 당시 더블린 대주교마저 바티칸 성직자성의 협조를 “참담하다”고 비판했습니다.
교황청 고위층 또한 조직적 은폐에 관여했음입니다.
프랑스 한 주교는 아동 성추행 신고를 하지 않은 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집행유예에 그쳤습니다
해당 주교를 감싸며 “신의 법이 인간의 법보다 위에 있다”는 식의 망언을 하는 추기경도 있습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시절 교리성 장관을 지낸 추기경조차
문제가 된 한 사제를 옹호하며 은폐에 가담했습니다
이 결정에 교황의 재가가 있었다고 주장해 파문이 일었습니다.
이런 사례들은 교회 조직 전체가 체계적으로 범죄를 덮어온 역사를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아동을 성폭행한 사제가 드러나도 교회는 자체 징계나 은퇴 권고 정도로 무마합니다
많은 경우 가해 사제들은 사법 처벌은 커녕 승진이나 영전을 누립니다.
미국에서 폭로된 사례들을 보면,
가해자들이 오히려 본당 신부에서 주교급으로 승승장구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문제가 불거져도 조용히 다른 교구로 전출됩니다
새로운 공동체에서 다시 피해자를 만듭니다.
법적 책임은 거의 묻지 않습니다
2011년까지 아일랜드에서 실제 형사처벌을 받은 가해 성직자는 6명에 불과합니다
미국에서도 2002년 사태 이후 몇몇 주교가 직무 태만으로 사법처리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빙산의 일각입니다.
대부분의 사건이 시효 만료로 기소되지 못했습니다
교회 측의 방해로 증거와 기록이 사라져버린 까닭입니다.
결국 가해 사제들은 자신의 죄를 공개적으로 인정하지도, 합당한 처벌을 받지도 않았습니다
유엔 인권 특별보고관들마저 2021년에
바티칸이 여전히 국내 사법 절차에 제대로 협조하지 않고,
가해자 책임추궁과 피해자 배상을 가로막고 있다고 비판합니다
교회는 끝까지 제 식구 감싸기에 급급합니다
이러한 태도는 교회가 법과 도덕의 심판을 받지 않는 특권 계층이라도 된 듯합니다.
피해자들에게 2차 가해를 안기는 행위입니다
오랜 침묵을 깨고 용기를 낸 피해 생존자들은
자신들이 겪은 고통과 교회의 배신을 세상에 폭로했습니다.
피해자 모임과 고발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어린 시절 신부에게 받았던 성폭행은 한 개인의 삶을 송두리째 파괴했을 뿐 아니라
신앙과 인간에 대한 근본적 신뢰마저 산산조각냈습니다.
한 프랑스 피해자 단체 대표는 교회의 은폐 행위를 두고
“수십 년간 대규모 범죄를 가능케 한 배신 행위”라고 규탄합니다
이를 “신뢰의 배신, 도덕의 배신, 아이들과 순수함에 대한 배신”이라고 일갈합니다.
그토록 강조하던 사랑과 정의의 가치가 교회 스스로에겐 적용되지 않았다 절규합니다
뒤늦게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교황청도 몇 차례 사과와 대책을 내놓긴 했습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2001년에서야
교회 내 성학대가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대한 심각한 모순”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재임 중 일부 피해자들을 면담하며 부끄러움과 참회를 표했습니다.
현 교황 프란치스코는 2018년 칠레 성추문 대응 실패를 둘러싼 비난을 받자
“비극적 오류”라며 피해자들에게 사과했습니다
전 세계 주교단을 소집해 성범죄 방지 회의를 여는 등 늦게나마 움직였습니다.
그러나 이런 사과와 약속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변화는 더딥니다.
결정적으로 2019년 교황청 회의 이후에도
전 세계 피해자들은 “말뿐인 회개의 제스처가 아니라
가해자 처벌과 정보 공개라는 행동이 뒤따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교황청은 교회 기밀문서를 세속 당국에 공개하고,
가해 성직자를 자동파문 및 무관용 원칙으로 다스리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수십 년 묵은 불신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수많은 피해자가 여전히 정의를 보지 못한 채 고통받고 있습니다
교회의 사과는 공허합니다.
반세기 넘게 이어진 추문과 그에 대한 교회의 태만한 대응은
가톨릭 교회의 도덕적 권위를 뿌리부터 흔들어 놓았습니다.
더 이상 교회는 영혼을 인도하는 도덕적 나침반이 아닙니다
스스로 범죄를 저지르고 숨긴 위선적 조직입니다.
그 결과 세계 곳곳에서 신자들이 이탈합니다
신뢰가 추락합니다.
아일랜드처럼 한때 가톨릭 신앙이 삶의 중심이던 나라에서도
미사는 텅텅 빕니다.
1970년대에 90%를 넘던 주말 미사 참석률이 2016년에는 36%로 폭락했습니다
교회는 사실상 “종말적 쇠퇴 상태”에 접어들었다는 평가입니다.
미국에서도 2019년 여론조사 결과 가톨릭 신자의 37%가
성범죄 스캔들 때문에 교회를 떠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힙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더 이상 아이를 보호하지 못하는 교회에 미래는 없다”는 인식입니다
교회는 급속한 세속화와 신앙 이탈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쇠퇴는 자업자득입니다.
스스로 저지른 범죄 앞에 진실과 정의보다
체면과 권력을 택한 가톨릭 교회가 마땅히 치러야 할 대가입니다.
이제 교회가 설령 거창한 개혁을 약속한들,
이미 등을 돌린 대중의 신뢰를 회복하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많은 이들은 교회가 더 이상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기를 바랍니다.
아이들의 순수함을 짓밟고도 회개하지 않은 조직에 남은 것은
신의 심판이 아니라 대중의 버림입니다.
이 거대한 추문은 가톨릭 교회 쇠퇴를 앞당깁니다
스스로 자초한 몰락의 길을 걷게 합니다.